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2

F1 중국 그랑프리 관전 포인트 2024 F14월 21일 일요일 오후에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열렸습니다.막스 베르스타펜이 이변없는 우승을 차지했고 랜도 노리스가 2위, 세르지오 페레즈가 3위로 포디움에 올랐습니다. 먼저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즌 첫 스프린트 레이스, 왕의 귀환?이번 중국 그랑프리의 최대 관전 포인트 중 하나는 올 시즌 처음 열리는 스프린트레이스였습니다. 스프린트 레이스가 열린다는 건 그만큼 연습주행의 기회가 줄어든다는 뜻이기에 F원 팀들은 차량에 적합한 세팅이나 타이어 운용에 더 신경을 쓸 수밖에 없습니다.금요일에 열린 스프린트레이스 퀄리파잉에선 맥라렌의 랜도 노리스가 1위를 차지했고, 메르세데스의 루이스 해밀턴이 2위를 차지했습니다.토요일에 열린 스프린트레이스에서는 결.. 2024. 4. 24.
F1의 지략 싸움 언더컷과 오버컷 F1 레이싱에서는 다양한 전략이 사용되며, 그중에서도 언더컷과 오버컷 전략은 가장 흥미로운 전략 중 하나입니다. 레이스에서 승리하기 위해선 레이스카의 성능과 드라이버 개인의 능력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언제 타이어를 교체하느냐는 전략 운영이 팀의 승패를 가르는 경우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의 타이어 관리 능력, 그리고 퀄리파잉에서의 순위, 날씨나 트랙의 상황 등을 보며 F1 팀들은 시합 전 미리 어떤 전략을 사용할지 플랜을 가지고 있고 상황이 순조롭게 흘러가지 않으면 플랜 B를 발동하기도 합니다. 이 두 전략은 경주 중 적절한 타이어 운영을 통해 순위를 끌어올리기 위해 사용되며, 각각의 전략은 특정 상황에서 큰 이점을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언더컷 1. 정의 언더컷 전략은 레이스 중에 더 빠른 랩 .. 2024. 4. 20.
F1 레이싱의 DRS : 과학, 전략, 그리고 극적인 추월극 F1 경기를 보다 보는 팬들의 심장을 뛰게 하는 장면은 단연코 추월(Overtaking) 장면일 겁니다. 코너에서의 레이트 브레이크(Late Break)에 의한 추월도 멋지지만 가장 많이 일어나는 추월장면은 뭐니 뭐니 해도 직선주로에서의 DRL를 활용한 추월입니다. 단순히 리어윙의 플랩을 열었을 뿐인데 앞서 가던 차들은 손 써보지도 못하고 무기력하게 추월당하기 일쑤입니다. 이렇듯 F1레이싱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DRS 사용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DRS 탄생의 배경 : 공기 역학 F1은 단순한 자동차 경주가 아닌 첨단 과학의 집약체라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겁니다. F1 레이스카의 대부분의 기능들이 그렇듯이 이 DRS 적용에도 반드시 전제되는 중요한 두 가지 공기역학의 개념이 있습니다. 1. .. 2024. 4. 13.
2024 F1 일본 그랑프리 결과 및 관전 포인트 2024 F1 일본 그랑프리가 4월 7일 일요일 낮에 스즈카 서킷에서 열렸습니다. 먼저 최종 순위입니다. 1위 맥스 베르스타펜 2위 세르지오 페레즈 3위 카를로스 사인츠 4위 샤를 르클레르 5위 랜도 노리스 6위 페르난도 알론소 7위 조지 러셀 8위 오스카 피아스트리 9위 루이스 해밀턴 10위 유키 츠노다 11위 니코 헐켄베르크 12위 랜스 스트롤 13위 케빈 마그누센 14위 발테리 보타스 15위 에스테반 오콘 16위 피에르 가슬리 17위 로건 사전트 저우관유, 다니엘 리카도, 알렉스 알본은 리타이어 하였습니다.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다음은 일본 그랑프리 관전 포인트입니다. 1. 첫 랩에서의 사고, 그리고 리스타트 첫 번째 랩이 시작하자마자 두 번째 코너에서 알렉스 알본이 앞서가던 다니엘 리카도의 리어.. 2024. 4. 8.